집에서 마시는 가장 편하고 맛있는, 에어로프레스 레시피
준비재료: 에어로프레스, 필터, 원두, 그라인더, 저울(없어도됨_원두 계량정도는 해주면 좋음), 드립포트(없어도됨)
올해에 유투브를 해보겠다고 평소에 사용하던 타임모어 C2는 더이상 못쓰겠다! 고 하고.
1z presso K ultra 를 샀다.
알리 익스프레스로 사면 싸게 쿠폰 잘 넣고 하면 18만원대로도 살 수 있다.
1z presso 가 핸드밀을 엄청 종류별로 만드는 회사인데, 대만인가. 해서 좀 싸게 살 수 있는 편.
핸드밀하면 코만단테밖에 없는줄 알고 살다가, 코만단테는 30만원대라 살 생각도 안해봤고..
요 핸드밀이 최근 브루잉 대회에서 종종 등장하는걸 보고, 동료들도 사용하는걸 몇 번 보면서 만져보고 했다.
막상 사용해보니 그립감이 좋고 맛 표현도 깔끔하게 잘 되는 것 같았다.
디자인도 예쁘다.
브루잉용으로 구매하긴 했지만 에스프레소 분쇄도로 갈아서 에어로프레스도 내려봤는데,
진짜 포터필터에서 커피퍽 떨어지는것처럼 쫀쫀하게 떨어져서 깜짝 놀랐다.
그만큼 그라인딩 하는데 손목 떨어지는 줄 알았다는 점.
여튼. 새로 산 그라인더 얘기 넣어두고.
집에서는 제일 많이 사용하는게 하리오 V60와 에어로프레스인데.
사실 집에서 커피를 마실 때는 에어로프레스로 내려 마시는게 제일 맛있다.
이유? 실패 없이, 적은양의 원두로, 간편하게 마실 수 있다.
에어로프레스는 매년 캐주얼한 형태의 추출 대회를 개최하고 있는데.
원두는 매해 바뀌긴 하지만 매년 챔피언들의 레시피를 검색하면 찾아볼 수 있다.
나도 한때 에어로프레스에 빠져서 이렇게 저렇게 많이 내려보다가 만든 기본 레시피가 있는데,
에어로프레스 드립 레시피
원두 양은 ? 14~18그람 사이.
디게싱(로스팅 후 날짜가 얼마나 지났는지)이나 컵노트에 따라 도징량을 정한다.
데일리한 원두로 커피를 묵직하게 뽑아낼거라면 원두양은 많이 18그람선..
섬세한 노트의 원두이거나 갓 볶아낸 원두라 향미 표현이 강하다면 원두양은 적게 14그람 담는다.
분쇄도는 드립 분쇄도인데 조금 굵게 / k ultra 기준으로는 8.2 정도 !
역방향으로 추출.
집에서 마실때는 간편한게 최고라는 생각때문에 사실 에어로프레스를 할 때는 저울을 안쓰고 싶지않나.
에어로프레스를 역방향으로 추출하는 이유가 여러가지 있지만. 저울이 필요없다는 점도 한몫한다.
끝까지 가득 부으면 220~230g 정도 들어가는데,
이게 14그람 도징시 1:15~16이라 추출 비율이 적정하고.
그 이상의 원두를 담을때는 완성된 커피에 물을 더 넣어서 마시면 되니까.
(아이스로 마시고 싶다면 원두 양을 많이 담고 물 양은 적게. 1:10정도 비율로 만들어서 내리면 된다)
추출수 온도는 온도가 표시되는 드립 포트가 없다고 가정하면.
드립 포트에 물을 담아서 펄펄 끓은 다음. 뚜껑을 열어서 30초 정도 있다가 부으면 된다.
얼추 묵직한 원두라면 30초 내에 후후~ 물을 휘저어가면서 식힌 다음에 부어도 더 부드러울거고.
좀 더 가벼운 원두라면 뚜껑 열어두고 은은하게 흔들어가면서 식힌 다음 뚜껑을 덮어주고. 추출을 시작하면 된다.
그러면 주변 온도에 따라 93~6도 정도 될텐데.
에어로프레스는 온도보다 압력이 주요 변수고. 평평한 바닥이 그 밖에 변수를 줄여줘 일관된.
그리고 더 고른 추출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준다.
자 그럼 추출 방법?
1. 원두를 담고.
원두가 적셔질만큼. 원두양보다 2배 정도 좀 더 되게 물을 담는다.
(이때 물 붓기 시작하면서 타이머를 시작한다)
2. 들어있는 스틱으로 3~5번정도 골고루 잘 적셔지게 저어준다.
3. 30초~35초가 될 때 부을 수 있는 만큼 물을 가득 붓는다.
4. 스틱으로 5~10번 저어준다.
5. 1분이 되는 지점에 플런저를 뒤집어서 프레스를 시작한다.
이때 가장 중요한것.
최~대한 천천히 프레스 할것.
보통 40초 정도 동안 프레스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압력이 원두 알갱이 속들에 골고루 퍼지면서 원두 성분들을 쪽쪽 뽑아낸다.
그래서 더 맛있는 커피가 완성된다 !
잘 저어서. 마시면 끝 ~
원두 양을 많이 넣어서 진하다면 물을 조금씩 타 보면서 적정 농도 찾기 !
애매하게 드리퍼로 내리는것보다 훨씬 간단하고 쉽고 맛있다.
⠀⠀⠀⠀⠀⠀⠀⠀⠀⠀⠀⠀⠀⠀⠀⠀